전체 글

데이터 분석 블로그
지금까지 for문을 천 번은 썼을 텐데 아직도 너무 헷갈린다. 그때그때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지 않아서 그렇다. 치다보면 이해될 줄 알았지. 여전히 감으로 for문을 쓰고 있었는데 오늘 수업을 들으면서 좀 정리했다. 내일은 for문과 while문의 차이를 정리해야겠다. for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 ```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등이 수행된다. for 문 안의 문장을 수행하는 도중 continue 문을 만나면 for 문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range 함수 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사용 시 주의점 ra..
= 와 == 의 차이 =은 할당연산자로, 우항의 피연산자(operand)를 좌항의 피연산자에 할당한다. ex) a = [1, 2, 3] ==은 비교연산자로, 두 객체(숫자,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의 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ex) a = [1, 2, 3] a == [1, 2, 3] >>> True a == [1, 2, 4] >>> False == 와 is ==은 비교연산자로, 두 객체의 값(내용)을 비교하여 객체의 내용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ex) 5 == 5.0 >>> True is는 식별연산자로, 두 객체의 메모리 주소를 비교하여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객체의 내용이 같아도 메모리 주소가 다르다면 Fals..
절대경로(Absolute Path) 절대경로는 루트부터 파일까지의 전체 경로를 뜻한다. 파일 혹은 폴더를 최상위 디렉토리(윈도우의 경우 C: 로 시작)부터 전체 경로를 모두 나열해 지정하는 방식이다. 절대경로가 지정되면 항상 동일한 위치를 가리키므로 어느 곳에서든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발 환경에서는 절대경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경로 속 폴더명과 같은 정보가 변경되면 일일히 수정해야 하고, 내 PC를 기준으로 절대경로를 지정한 코드를 다른 PC에서 사용할 경우, 경로가 제대로 지정되지 않아 협업에 불편하다. 윈도우에서는 상위폴더 하위폴더경로 사이에 \ 를 사용하여 구분 상대경로(Relative Path) 상대경로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접근할 파일까지의 위치를 나타낸다. 현..
22년 1월에 멋사 AI 스쿨을 수료하고 1년이 지났다. 그 1년 동안 호주에 살면서 데이터분석과 엄청나게 멀어졌다. 졸업까지 1년이 남았는데 뭘 하면 좋을까 하다가 DBSA 4기를 수강하게 됐다. 경영학과 전공 수업을 들으면서 데이터분석과 다시 가까워지는 건 객관적으로 무리다. DBSA 4기는 디지털 스마트 부산 아카데미의 데이터 사이언스 과정이다. 앞으로도 진행할 거라고 하지만 일단은 4기까지 편성해서 나온 사업이라 막차를 탄 셈이다. 학교와 연계해서 전공선택 12학점까지 인정되니 안 들을 이유가 없지. 게다가 파이썬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다시 배울 수 있다! 사실 파이썬 수업은 세 번째 듣는데 그 덕분에 이해가 쏙쏙 된다. 여전히 알고리즘 문제는 다 틀리지만. 한 학기 동안 열심히 공부하고 지원해서 ..
이삼오
소처럼 코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