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문

1. 25304 영수증 문제 준원이는 저번 주에 살면서 처음으로 코스트코를 가 봤다. 정말 멋졌다. 그런데, 몇 개 담지도 않았는데 수상하게 높은 금액이 나오는 것이다! 준원이는 영수증을 보면서 정확하게 계산된 것이 맞는지 확인해보려 한다. 영수증에 적힌, 구매한 각 물건의 가격과 개수 구매한 물건들의 총 금액 을 보고, 구매한 물건의 가격과 개수로 계산한 총 금액이 영수증에 적힌 총 금액과 일치하는지 검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는 영수증에 적힌 총 금액 X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영수증에 적힌 구매한 물건의 종류의 수 N이 주어진다. 이후 N개의 줄에는 각 물건의 가격 a와 개수 b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구매한 물건의 가격과 개수로 계산한 총 금액이 영수증에 적힌 총 금액과 일치하면 ..
1. astype( ) 메서드 사용법 데이터프레임 속의 데이터 타입을 바꿔주는 astype( ) 메서드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df.astype(dtype, copy=True, errors='raies') - dtype : 변경할 데이터 타입을 입력한다. - copy : 사본 생성 여부로 bool 타입으로 입력한다. 입력하지 않을 때 기본값은 True로 copy=False는 원본 데이터를 변경시키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errors : 데이터 타입을 오류를 발생시킬지 여부로 'raies', 'ignore' 로 입력한다. 'raies' : 오류 발생 O => 오류 문구가 반환된다. 'ignore' : 오류 발생 X => 변경 불가능한 요소는 기존 dtype 그대로 보존된다. 2. astype( ) 메서드..
1. str.replace( ) 메소드 사용법 파이썬에서 str.replace()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tr.replace('변경할 문자', '변경 후 문자') str.replace('변경할 문자', '변경 후 문자', 횟수) 2. str.replace( ) 메소드 사용 예시 아래의 pop_seoul 데이터프레임에서 인구수, 내국인, 외국인, 고령자 컬럼의 데이터들을 int 타입으로 바꾸려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데이터에 있는 콤마 , 를 없애보자. 2-1. srt.replace( ) pop_seoul['인구수'] = pop_seoul['인구수'].str.replace(',', '') pop_seoul['내국인'] = pop_seoul['내국인'].str.replace(',', '')..
지금까지 for문을 천 번은 썼을 텐데 아직도 너무 헷갈린다. 그때그때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지 않아서 그렇다. 치다보면 이해될 줄 알았지. 여전히 감으로 for문을 쓰고 있었는데 오늘 수업을 들으면서 좀 정리했다. 내일은 for문과 while문의 차이를 정리해야겠다. for문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 ``` 리스트나 튜플,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등이 수행된다. for 문 안의 문장을 수행하는 도중 continue 문을 만나면 for 문의 처음으로 돌아간다. range 함수 숫자 리스트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사용 시 주의점 ra..
이삼오
'for문'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