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브랜치 안에서 특정 파일이나 폴더(directory)만 삭제하고 싶을 때가 있다.
깃클론한 상태에서 파일을 지우고 푸쉬할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깃허브 웹에서 지우는 방법을 알아보자.
리트코드 문제를 풀기 시작하면서 백준허브와 비슷한 기능의 LeetHub 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했다.
백준허브와 달리 리트허브는 연결된 레파지토리 안에 바로 문제가 커밋된다. 게다가 LeetHub V3 기준 한 문제를 제출할 때마다 문제+readme file이 커밋되면서 커밋 기록이 2개씩 찍힌다. 이 문제는 리트허브를 커스텀해서 해결했고, 기존에 제출했던 디렉토리들은 삭제하려고 한다.
삭제하려는 폴더가 있는 레파지토리에 들어가서 해당 폴더를 클릭한다.
우측 상단 점 세 개를 누르면 Delete directory 라는 옵션을 찾을 수 있다.
delete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디렉토리 내의 파일이 보이지 않는다. 여기까지만 하면 삭제된 내용이 저장되지 않는다. 깃클론한 로컬 폴더에서 파일을 지우고 커밋하지 않은 것과 같다. 웹에서도 commit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우측 상단 초록색 버튼을 누르면 된다.
description을 써줘도 되고 쓰지 않아도 된다. commit changes 버튼을 누르면 해당 디렉토리 혹은 파일의 삭제가 완료된다.
레파지토리가 깔끔해졌다. 웹에서도 커밋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데이터분석 공부 > DSBA 4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q2seq 모델, Attention 모델의 메커니즘 (1) | 2024.04.30 |
---|---|
딥러닝 언어 모델 (순방향/역방향 언어 모델, Masked Language Model, Skip-Gram Model) (0) | 2024.04.30 |
파이썬 pip install 에러 해결 : 윈도우 환경변수 PATH 설정 (0) | 2024.04.28 |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0) | 2024.04.22 |
16/04/24 TIL 딥러닝 컨볼루션 신경망, 과대적합 방지, 전이 학습, 파인 튜닝 (0)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