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22
데이터프레임에서 자주 등장하는 loc와 iloc의 개념, 차이점을 정리해보았다.
loc = location
데이터프레임의 행이나 열에 label, boolean array(True, False)로 데이터에 접근
사람이 읽기 편한 라벨로 특정 값을 추출
loc 사용법
df.loc[행 인덱싱 값, 열 인덱싱 값]
iloc = inter location
데이터프레임의 행이나 열의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int), 인덱스 값으로 특정값을 추출
정수(숫자)로 접근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읽기 좋은 방법
iloc 사용법
df.iloc[행 인덱스, 열 인덱스]
loc와 iloc의 실행 방법
df.loc[0] -> 전체 데이터프레임에서 인덱스 이름이 0인 행만 추출
df.iloc[0] -> 전체 데이터프레임에서 0번째 행에 있는 값들만 추출
'데이터분석 공부 > 멋사 AIS 7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류 성능 평가 지표 : F1 Score, F-Beta Score, Macro-F1 정리 (0) | 2024.04.22 |
---|---|
캐글 자전거 수요 예측 데이터를 활용한 파이썬 시각화 (2) | 2024.03.05 |
Serise와 DataFrame 그림으로 정리 (0) | 2024.03.05 |